반응형

20170920.




머리를 어깨에 닿게 기르고 다닐 때 나를 보는 사람들은 '00을 하는 사람입니까?'라고 물었다. 주로 음악을 하느냐, 그리을 그리냐 하는 것들이었다. 한마디로 예술을 하느냐는 것이었다. 어떤 장르를 집는가는 그 개인이 무엇에 더 친근한가에 달려 있는 듯했다.


왜 나에게 예술을 하느냐고 묻는가하면 외모의 꾸임이 일반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긴머리, 찢어진 청바지, 귀걸이, 늘어나거나 화려한 프린팅의 티셔츠 등등. 자신이나 자신과 비슷하다고 생각되는 주변인들이 입지 않을 옷과 악세사리를 내가 착용했기 때문에 일반적인 삶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이리라. 나는 '예술'을 하기 위한 기술과 도구를 가지고 있지 못해 '아니요, 아무것도 안 해요'라고 말할 수밖에 없었다. 


20살에 닿아서 대학에 들어왔던 그 직후까지 스쳐도 기억하지 못할만한 외모를 가지고 있었다. 20살의 중반 즈음, 그리고 군대 갔다온 후 모습이 조금 달라졌다. 외부로 드러낼 수 없던 욕구를 드러낼 수 있는 최소한의 환경을 만들었고, 선택의 자율권도 약간 있었다. 예술가로 보이고자 한 목적은 없었다. 10대 때 부모님과 옷을 사러가거나 사온 옷을 입는 게 지독히도 싫었다. 그런 짜증이 부모님에게는 미안했지만 언젠가부터는 정말 미쳐버릴 것 같았다. 대단한 인내력으로 갈무리해온 욕구를 조금씩 행동으로 옮길 수 있었고, 머리를 기르고 예쁜 옷을 입었다. 이정도의 자유였지만, 점점 더 많은 것들을 가족의 틀에서 꺼내 오로지 내 선택에 맡길 수 있었다. 


신중하고, 조심스럽고, 침묵하는 관성은 한 번에 떨어지지 않았기에 관성에 저항할 수 있을 만큼만 무질서하고 충동적인 선택을 했다. 객관적으로 봤을 때 '귀여운 일상 속 실험'정도의 일탈뿐이지만 거긴 내에게 새로운 영역이었고 자극이 있었다. 그 자극들에 무뎌지고 주변을 둘러볼 수 있게 된 건 수 년이 흘러서다. 욕구를 다시 갈무리하게 된 계기가 있었을 무렵 졸업을 했지만 특별히 변해야겠단 생각은 없었다. 보통의 직장인이 될 수 없던 나는 시민단체에 들어가 돈을 벌었다. 여전히 긴머리와 귀걸이가 사람들의 시선을 끌었다.


긴머리를 잘랐을 때 별 느낌은 없었다. 긴머리가 지겨웠을 때니까. 머리 같은 건 아무래도 상관없다. 다시 예술 같은 걸 하느냐는 질문을 받은 건 머리를 밀고 나서다. 머리를 길었을 때처럼 예술가가 되고 싶은 생각은 없다. 머리를 밀지 않고는 참을 수 없을 것 같은 기분이었기에 밀었을 뿐이다. 삭발한 머리는 편할 뿐 다른 의미는 없다. 사람들은 가끔 이런 의미없는 것에 의미를 붙이고 싶어한다. 머리 길이는 예술과 아무 상관없고, 의미 따위와도 아무런 상관도 없다.


얼마 전 술자리에서 내가 예술가에 적합한 사람이라는 말을 들었다. 오래 전부터 알았기에 외모가 판단의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었으리라 짐작했다. 외모와 상관없는 예술가란 부름이었지만, '예술가'란 단어가 어떤 의미인지 알 수는 없었다. 그 사람은 자신의 주변에 예술가가 많은데, 내가 예술가 타입에 꼭 맞는다고 했다. 처음 듣는 그 맥락의 말에 호기심이 일었지만 술자리에서 더 이상 포착되진 않았다. 


초중고를 다니는 동안 예체능의 예는 항상 내 성적을 깎아먹었다. 단 한 번도 내신점수를 올리는데 도움을 준적이 없었고, 내가 다룰 수 없는 영역의 것들이었다. 가끔 느끼는 재미나 호기심도 그저 막연했을 뿐이다. 단 한 번도 미래의 직업으로 고민한 적도, 지도나 훈련 받은 것도 없다. 예술이라 부를 수 있을 것에 대한 지식, 관심, 취향, 안목 같은 것들은 아주 늦게 후천적으로 습득한 것이다. 그런데 나는 왜 주변 사람들에게 왜 예술가에 어울리는 사람으로 보이게 된 걸까. 어쩌면 그리 특별하지 않을 것이 예술일텐데 내가 특별하게 생각하는 것일지도 모를 일이다.  

반응형

'옛블로그1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페에서  (0) 2018.02.28
글쓰기  (0) 2018.02.28
만년필  (0) 2018.02.28
소개팅  (0) 2018.02.28
채동욱 사건_정보와 관념의 사슬  (0) 2018.02.28
반응형

20170829.




근 1년간 벌였던 소비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걸 하나 꼽으라면 단연코 만년필을 산 일이다. 그리 비싼 건 아니지만 부드러운 촉감이 마음에 든다.


예전에 한동안 검은 플러스펜의 서걱서걱하고 각진 필기감이 마음에 들었고 흔히 쓰는 펜과 다른 모양의 글씨를 만드는 게 좋았다. 하지만 플러스펜이 필기를 하기에 썩 좋은 필기구가 아니기도 하고 자주 펜을 잃어버려 습관이 되진 않았다. 만년필을 사며 필기감이 좋은 여러 모양의 노트들도 함께 구매했고 결과는 기대감을 충족했다. 


이 만족감은 내가 글을 쓰게 만들기 위한 당근이었다. 특정한 상황을 계기로 삼는 것으로 누구나 소비의 이유다. 그렇지만 그이후로 '글을 많이 쓰지 않는다'는 생각에 많이 써야 한다는 압박과 소비 행위가 주는 쾌감이 맞아떨어져 애꿎은 만년필을 산거다. 이후에는 한동안 잘 가지고 놀다가 역시 무언가 시작하지 않고 가방속에서 내 신경을 잡아끄는 중요한 물건이 됐다. 이런 식으로 통기타를 바꾸고, 빔을 사고, 책을 사고, 컴퓨터 키보드를 바꿨다. 


무엇인가 해야 한다는 압박은 삶의 목표를 만들어야 한다는 원초적인 위기감 때문이기도 하지만 거창한 이야기는 하지 않도록 하자. 이와 어울리지 않지만 돈 쓰는 재미가 상당하단 걸 부정할 수가 없다. 욕구가 생길 때 참지 않고 돈으로 해결해버리는 소비사회의 맛이 중독적이다. 


부모님은 뻔한 내 벌이를 알기에 걱정을 한다. 독립된 생활이 가능하냐는 것인데 미래에 멱살잡히지만 않는다면 살기 나쁘지 않다. 한 때 소비를 제한하기 위해 금욕적인 삶을 살기도 했다. 사고 싶은 것을 참는 것 이상으로 잠과 먹는 것, 삶의 기초를 '금욕'을 테마로 바꾸는 것이다. 부모님은 그 모습이 인상적이었는지 아직도 내가 자린고비스러움을 가지고 있다 말한다. 이제 그렇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마음대로 돈을 쓰는 건 욕구를 관리하지 않는 것이며, 금욕은 욕구를 관리하는 것이다. 발현된 욕구는 깊이나 지속성을 갖기 어려워 의미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즉흥적인 감정은 포착되지만 박제되지 않고 기념되지 않는다. 금욕은 욕구를 억누르는 것으로 특정 욕구만을 줄었다 조이기는 어렵다. 전반적인 욕구를 줄이다 보면 삶의 연료가 되는 욕구들 마저도 억누르게 된다. 스스로 만든 한계에 순응하는 길이다. 


욕구 자체에 집중하는 것, 관리하려는 건 작은 그림을 그리는 것이다. 지울 수 없는 삶의 상수로 삶 자체에 내재된 톱니바퀴에 집중하는 것일뿐. 기계의 목적과 사용이 정해지면 부품과 필요한 기술은 개발되도 관리된다. 욕구는 망가짐이 없을 만큰만 닦고 조이면 된다. 삶이란 큰 기계의 이미지를 갖지 못하면 작은 것에 집착하게 되고 이끌린다. 복잡한 설계는 낮은 수준의 기판에 머무를 수 있다. 단순한 기판 설계는 조잡스럽고, 핑계스럽게 된다. 욕구에 따라 소비하는 알고리즘은 단순해서 매력적이지만 단순해서 보잘 것이 없다. 


만년필의 부드러운 촉감은 큰 만족감을 준다. 이 촉감이 소비의 전부였을까. 만년필은 내가 돈을 쓴 다른 물건들과 다를까, 돈을 잡아 먹는 다른 물건들은 이제 차지 아니하면서 이 부드러운 촉감. 이것이 전부여도 좋은 것일까. 단순함이 쌓이면 복잡해질 수 있을까.  

반응형

'옛블로그1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쓰기  (0) 2018.02.28
예술가  (0) 2018.02.28
소개팅  (0) 2018.02.28
채동욱 사건_정보와 관념의 사슬  (0) 2018.02.28
일베_5  (0) 2018.02.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