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삼성 라이온즈의 마무리 투수 임창용이 시즌 50%를 뛰지 못하도록 징계가 내려졌다. 일각에서는 이제 은퇴 수순을 밟는 게 아닌가 싶었지만, 임창용 개인의 선택에 따라 선수생활을 연장할 수 있게 됐다. 삼성 구단도 안심하고 있을 것 같다. 임창용과 함께 징계를 받은 오승환은 국내 활동 중은 아니지만 임창용과 마찬가지로 시즌 50% 등판 금지를 당했다. 국내 활동 중은 아니지만 국내 복귀 시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오승환은 메이저 진출 시도 중인데, 으음 전망이 밝지 않고 일본 복귀도 어려울 것 같은데.... 비난을 무릅쓰고 물밑 작업을 하고 있는 팀도 있지 않을까 싶다. 물론 삼성이 1순위이겠지만. 







하지만 임창용의 징계는 팬들의 화난 팬심을 덮지 못하고 있다. 화가 아니라 냉소라고 해야 할 것 같다. 그동안 별다른 사고 없는 구단으로 최정상을 지켜온 구단 이미지가 있어 초반에 어떻게 해야 할까 우왕좌왕 했었는데, 삼성은 주축 선수들을 차마 내치지 못했다. 혐의가 이미 여러 루트로 흘러나오고 있었으나 혐의가 있는 선수들의 이름조차 기사화되지 않고 있었다. 아, 삼성이 역시 대단하구나 느꼈다. 








그리고 한국시리즈가 끝나고 수사가 진행되고 사람들의 관심이 어느 정도 식을 때쯤 임창용과 오승환에게 벌금형이 내려졌다. 수 억에서 수 십억에 이를 것으로 보이는 해외원정 도박 혐의가 있었고, 당시 '사채'까지 썼을 것이라는 혐의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생각보다 아주 약한 형을 받게 된 것이다. 게다가 함께 도박을 한 것으로 알려진 윤성환과 안지만은 수사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윤과 안은 지금 삼성 스프링캠프 명단에 올라 공식적인 훈련을 앞두고 있다. 







승부조작을 한 건 아니고, 약물 복용을 한 건 아니지만 이건 누가봐도..... 미적지근하다는 생각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삼성은 최대한 기사와 멘트 나가는 걸 꺼리면서 사건이 잠잠해지기만을 기다리고 있다. 그게 최선의 대응책이란 걸 알고 있을 테니. 지금과 같은 상황이라면 임창용 역시 이번 시즌 후반기에 등판할 것으로 보인다. 선발에이스 윤성환과 불펜에이스 안지만이 빠진 삼성은 한국시리즈에서 두산에게 1위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아마 윤성환과 안지만이 있었더라면 두산을 이길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건 이번 시즌에서도 마찬가지다. 두 투수를 빼기엔 너무 전력손실이 큰 거다. 그래서 비난이 잠잠해지길 기다리며 겨울을 보내고 있는 것이다. 







당시 삼성 선수 외에 도박과 관련된 타구단 선수들의 이름도 거론 됐었는데 모두 루머였는지 조용하게 넘어 갔다. 하지만 도박스캔들이 그렇게 쉽게 덮어지진 않을 것이다. 삼성그룹이 가진 본래의 이미지, 금수저의 이미지가 이번 사건의 배경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본래 스포츠는 현실의 괴로움을 잊고자 찾는 건데, 거기에 현실의 추악함이 껴드니 잠재된 불만스런 팬심이 더욱 요동치고 있는 것이다. 시즌이 시작하고 해당 선수들이 야구장에 모습을 드러내면 아마 더 큰 소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응형
반응형





셜록이 개봉했다. 개봉했다? 개봉했다라는 표현이 맞는지 모르겠다, 그건 사실 영드 TV판으로 제작된 외전 격의 작품이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그저 드라마의 연장선에 있는 작품이지 지금 CJ가 광고하듯 '셜록'이란 개별적인 작품이 아니다. 후기를 봐도 영드 셜록인줄 모르고 뭔 소린지 모른 채 상영 시간을 참아내거나 중간에 나가 버린 예도 허다하다고 한다. 



CJ가 이걸 호기롭게 극장에 건 이유가 있었다. 생각보다 잘 나가고 있다. 극장용 필름을 사온 게 아닐테니 본전은 뽑고도 남지 않았을까 싶다. 셜록과 베네딕트 컴버배치에 대한 말랑꼴리한 팬덤에 정확하게 소구했다. 이건 배급사의 승리이긴 하지만, 정말 구리긴 구리다. 스크린 수를 그렇게 많이 확보하고 마케팅을 했으니 어느 정도 사람이 몰릴 수밖에. 이번에도 역시 대형 배급사가 영화관을 점령하면서 벌어지는 폐해의 한 사례로 남을 것 같다.










셜록은 시즌이 지나갈수록 그냥 정신병자가 되어 가고 있다. 편집증 환자에다가. 그걸 인간미를 찾는 과정이라고 하고 싶은 영드 셜록 매니아가 있을지 모르지만 점점 원작 셜록과의 거리가 멀어지고 있다는 느낌이다. 영드에서 컴버배치가 연기하는 캐릭터의 개성을 살리기 위해, 인기 많은 왓슨의 존재감을 더 키워주기 위해 날카롭고 냉정하고 장난기 없는 셜록이 점점 우스운 캐릭터로 변하고 있는 중인 것이다. 시즌이 지날수록 그런 경향이 심했는데, 이번에 개봉한 유령신부 역시 나사 빠진 셜록의 모습만이 그려져 있을 뿐이었다. 









적어도 나에겐 베네딕트 컴버배치가 꽤 무게감 있는 배우로 느껴지는데 사람들은 그를 옆집 아저씨 정도로 생각한다. 검버배치의 평소 행동이나 이미지가 뭔가에 얽매이는 사람은 아니라 보여지지만 그의 연기 만큼은 깊다. 그가 연기하고 있는 셜록이 시즌이 지남에 있어 실망하는 건 초반 그가 보여줬던 광기, 분노, 완벽주의에 대한 편집증이 사라지고 점점 '실수'하고 놓치는 모습으로 그려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연약한 모습을 연기하게 되는 거고. 









아무튼 이번 셜록 유령신부는 곧 선보일 시즌4의 프리퀄이었다. 죽은 모리아티 교수를 살리기 위한 굉장한 노력이랄까. 유령신부가 자살로 위장한 트릭도 제대로 밝혀지지 않아 모리아티가 어떻게 살아있는지 시즌4를 봐야 알게 되어 버렸다. 게다가 셜록의 내면 속을 들락날락해서 연출조차 굉장히 어지러워서 영드를 봤음에도 불구하고 후반부로 갈수록 따라가기가 어려웠다. 특별판이란 게 그 옛날 얘기를 껴넣은 정도겠지. 


암튼 셜록 부심 넘치는 팬덤이 형성되서 극장에 걸린 게 정상인지 비정상인지조차 판단할 수 있는 분위기가 아니다. 두고두고 생각해봐도 영드 셜록과 베네딕트 컴버배치에 대한 이상하리만치 높은 인기를 이해할 수가 없다. 초록사이트 유령신부 영화한에 댓글 달린 거 보면 앞으로 이러한 부심들은 한층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