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변에서 말이 많았던 슬기오운 감빵생활을 몰아봤다. 유쾌하게 봤다, 드라마를 별로 안 봐서 그런지 이전 드라마들과는 조금 다른 포인트가 있었던 것 같다.


전반적인 감상은 드마라판 진짜 사나이를 본 것 같다. 어찌 감옥이 즐거울 수 있으랴. 군대를 갔다온 입장에서 진짜 사나이를 봤을 때-이리저리 오다가다 짧은 클립을- 참으로 낭만적이다, 군대 캠프 같네란 느낌이었다. 모르는 사람이나 오래된 사람이 보기엔 지낼만 한가보다 싶겠다 생각할 만한 그림이었다. 슬기로운 감빵생활도 비슷한 감상이다. 이런 생활이면 그럭저럭 견딜 수 있는 거 아닐까란 생각이 들만큼. 


그런 감상이 든 건 슬빵이 코미디라서다. 예능만큼은 아니더라도 충분히 가볍게 볼 수 있게 만들었다. 비극적 상황에 놓인 주인공의 운명, 감옥이라는 환경의 부정적 인상을 상쇄시키기 위해 화면을 밝게 잡았고, 내용도 밝게 꾸몄다. 이따금 비추는 어두운 그림자는 현실적 감각을 깨웠지만, 어두운 그림자는 코믹스러운 극적 연출로 무마시켰다. 


슬빵은 자료 조사를 참 성실히 했다고 느꼈는 데, 그 자료라는 것들의 성질이 밝은 것일 수가 없다. 무거운 걸 가볍게 덧칠하다 보니 곳곳에서 빈틈이 나타났지만, 사건에 사건이 이어지는 꽉 짜인 연출에 보면서 딴 생각할 일이 많지는 않았다. 극 후반에는 선악이 분명하게 나뉘었지만 초반에는 긴장하면서 드라마를 볼 수밖에 없던 게 등장인물이 선역인지, 악역인지 알 수가 없어서였다. 성동일이 맡은 조주임의 돌변을 보면서 법자도 어떤 지점에서 변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도 했다. 교도소 인간들은 기본적으로 신회할 수가 없단 걸, 사람은 믿을 수 없단 걸 확인해준다.





슬기로운 감빵생활은 인생의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을 그리고 있기 때문에 캐릭터들의 양면성이 두드러졌다. 깜빵에 들어온 놈 중 착한 놈 없고, 핑계없는 무덤 없다지만 2상6방 사람들에게는 '핑계'를 만들어준다. 감옥에서 발생하는 사건은 방사람들은 좋은 인간으로 만들었다가 나쁜 인간으로 만든다. 누군가는 좋은 결말로, 누군가는 나쁜 결말로 인생이 이끌리고 모두 삶에 후회를 남기며 감옥 생활을 해나간다. 어느 땐 믿을 수 있는 사람인 줄 알았는 데 못 믿을 놈이었다, 미운 인간인데 정을 안 줄 없다. 관계의 오고 감이 극 진행에서 두드러졌다. 


교도소는 항상 들고 남이 있다. 드라마의 연출이겠지만 좋든싫든 헤어졌던 사람과 다시 관계를 맺고, 끝나지 않을 것 같던 관계가 덜컥 끝나 버리기도 한다. 문래동과 고박사의 퇴장은 신선하다 못해 놀랬다. 보통의 드라마에서 비중 있는 역학을 한 순간 없애 버리기가 쉽지 않다. 교도소의 생활이 그러했을 테지, 2상6방 사람들은 이감과 출소로 한 순간 화면에서 사라진다. 만남과 이별의 반복, 삶의 양면성을 잘 드러내는 부분이었다. 


한국 드라마의 주된 흐름은 사건이 상황을 이끌어가는 게 아니라 배우의 대사로 모든 걸 해결하는 것이다. 특히, '리얼타임'이 되가는 드라마 후반부에는 얼굴 컷 주고 받으며 대사만 쳐댄다. 촬영 편하고 쪽대본 쓰기 편하니까. 공중파 드라마 제작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케이블 드라마는 사전제작 부분을 크게 늘려 연출의 공백을 최소화한다. 슬빵은 대사로 처리할 부분이 많지 않았다, 톱니처럼 맞물려 돌아가는 사건과 사건이 캐릭터를 가만히 두지 않았기 때문이다. 


극은 대사가 아니라 사건이 이끌어가야 한다. 슬기로운 감빵생활이 끊임없이 사건을 배열하고 아이디어를 짜넣은 건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자료 조사가 철저했기 때문일 것이다. 재료가 많으니 미적지근한 대사와 느릿한 연출로 시간 끌 틈이 없다. 어쩌면 써야 할 자료가 많이 남았을지도 모른다란 생각이 들만큼 밀도 있는 각본과 그에 맞는 연출이었다. 떡밥을 많이 뿌리고 이를 다 회수할 만큼 연출에서 버리는 장면이 없고, 사전에 잘 준비된 각본이었다.






제혁을 둘러싼 큰 사건이 극을 이끌어가지만, 교도소 내의 사소한 사건들이 더 재밌었다. 교도소에서는 이렇게저렇게 생활하는구나를 실감나게 느낄 수 있었던 부분들이 매력적이었다. 특징이 두드러지는 캐릭터들의 배치도 아마 사전 조사 과정에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합쳐 만들어진 캐릭터일 테지. 무한도전에서 가장 재밌는 게 미션 해결이 아니라 그냥 둘러 앉아 토크하는 거랑 비슷하겠다.


헤롱이가 출소 후 바로 잡혀 들어가는 연출을 하는 데, 이는 어느 정도 상상의 장면이라고 봐야 겠다. 헤롱이는 출소 후 어느 순간 과거에 발목 잡힌다, 약을 다시 한다는 상징적인 장면이다. 헤롱이가 다시 잡혀 들어가는 걸 보고 이게 끝이야 싶어 뒤로 넘기고 찾아 봤는데 그게 마지막이더라. 슬빵의 이별 장면들은 매정하기도 하다. 


부분부분 엉성한 점도 눈에 들어왔지만, 전반적으로 유쾌하게 봤다. 팽부장 츤데레에 잠시 푹 젖어 있었다. 



반응형
반응형



올해 15회 한국대중음악상 후보가 발표됐다. 매년 기다리는 후보작들이다. 자주 들었던 앨범들이 눈에 많이 띄어 반갑기도 했지만 종합분야 앨범들은 생각치 못했던 앨범들이 얼굴을 올렸다. 강태구와 김목인은 한국대중음악상의 포크 사랑 버프를 받은 것 같긴 하다. 강태구의 앨범은 처음 보았고 김목인의 앨범은 들었으니 기억이 나질 않는다. 이건 어쿠스틱한 포크를 잘 듣지 않는 개인적인 성향 때문에.


검정치마는 이견이 없다. 앨범 완성도가 너무 높다. 다만, 같은 시기에 발표된 언니네 이발관을 자주 듣다보니 자연스레 안 듣게 됐다. 착 감기는 멜로디와 임팩트 있는 사운드나 보컬이 아니라서 찬찬히 들어야 하는데 그러질 못해 큰 매력을 느끼지 못했다. 돌아보니 언니네 이발관 앨범은 아쉽게도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란 인상이 남았다. 혁오 앨범도 여러 번 듣다가 안 듣게 됐는데, 사실 너무 유명해져서 왠지 안 찾게 되더라니. 당시에도 다양한 스타일의 음악을 만들었다고 생각했는데, 정규앨범의 취지를 잘 살렸다. 검정치마와 혁오는 오랜 만에-집중해- 다시 들어보고 있다. 


아이유 앨범은 참 한 번도 안 들었더랬다. 여기저기 피쳐링을 해서 그런지 정작 앨범은 안 찾게 됐다. 대중가수라는 이미지가 강했던 걸까. 평단과 음악인들 사이에서 가장 사랑 받는 차세대 여성 싱어송라이터이니 얼굴을 비출만 했다. 김사월 사랑과 비슷한 느낌도 들긴 하는데. 아이유 앨범는 앨범에서 다양한 시도를 하며 꽤 능숙하게 여러 모습을 담아낸다.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음악인이지만 이번 앨범이 올해 종합분야 앨범에 손에 꼽힐 정도인가는 의문이다. 너무 과한 기대 때문일 수도 있겠으나 '대중음악'을 고려한 결과라고 생각해야지.


그에 반해 올해의 신인 분야는 언제나 과감하다. 장르적 분배도 잘 돼 있고, 과감함과 능숙함이 어우러진 라인업이다. 한국대중음악상 후보가 발표되면 새로이 들어볼 앨범이 늘어 좋다. 특히 평소에 잘 듣지 않는 분야의 앨범들을 선별해 들을 수 있어 대단히 만족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