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5회 한국대중음악상 후보가 발표됐다. 매년 기다리는 후보작들이다. 자주 들었던 앨범들이 눈에 많이 띄어 반갑기도 했지만 종합분야 앨범들은 생각치 못했던 앨범들이 얼굴을 올렸다. 강태구와 김목인은 한국대중음악상의 포크 사랑 버프를 받은 것 같긴 하다. 강태구의 앨범은 처음 보았고 김목인의 앨범은 들었으니 기억이 나질 않는다. 이건 어쿠스틱한 포크를 잘 듣지 않는 개인적인 성향 때문에.
검정치마는 이견이 없다. 앨범 완성도가 너무 높다. 다만, 같은 시기에 발표된 언니네 이발관을 자주 듣다보니 자연스레 안 듣게 됐다. 착 감기는 멜로디와 임팩트 있는 사운드나 보컬이 아니라서 찬찬히 들어야 하는데 그러질 못해 큰 매력을 느끼지 못했다. 돌아보니 언니네 이발관 앨범은 아쉽게도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란 인상이 남았다. 혁오 앨범도 여러 번 듣다가 안 듣게 됐는데, 사실 너무 유명해져서 왠지 안 찾게 되더라니. 당시에도 다양한 스타일의 음악을 만들었다고 생각했는데, 정규앨범의 취지를 잘 살렸다. 검정치마와 혁오는 오랜 만에-집중해- 다시 들어보고 있다.
아이유 앨범은 참 한 번도 안 들었더랬다. 여기저기 피쳐링을 해서 그런지 정작 앨범은 안 찾게 됐다. 대중가수라는 이미지가 강했던 걸까. 평단과 음악인들 사이에서 가장 사랑 받는 차세대 여성 싱어송라이터이니 얼굴을 비출만 했다. 김사월 사랑과 비슷한 느낌도 들긴 하는데. 아이유 앨범는 앨범에서 다양한 시도를 하며 꽤 능숙하게 여러 모습을 담아낸다.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음악인이지만 이번 앨범이 올해 종합분야 앨범에 손에 꼽힐 정도인가는 의문이다. 너무 과한 기대 때문일 수도 있겠으나 '대중음악'을 고려한 결과라고 생각해야지.
그에 반해 올해의 신인 분야는 언제나 과감하다. 장르적 분배도 잘 돼 있고, 과감함과 능숙함이 어우러진 라인업이다. 한국대중음악상 후보가 발표되면 새로이 들어볼 앨범이 늘어 좋다. 특히 평소에 잘 듣지 않는 분야의 앨범들을 선별해 들을 수 있어 대단히 만족한다.
'기록 >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리의 여왕 시즌1 정주행 후기 (2) | 2018.03.09 |
---|---|
슬기로운 감빵생활 후기 _ 양면성 (0) | 2018.03.05 |
썰전 전원책 유시민 합류로 쉴 틈이 없다 (2) | 2016.01.15 |
김광석이 죽은 지 벌써 20년 째 (0) | 2016.01.06 |
2016 jtbc 뉴스룸 신년토론 짧은 논평 (0) | 2016.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