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동이 가장 맛있는 곳은 어디일까? 수많은 맛집이 성행하고 각 종 앱도 발달하고 인터넷 검색하면 하면 수없이 쏟아지는 그런 맛집 중에서도, 가장 맛있는 우동집은 어디인고 하니, 바로바로바로



휴게소다. 







여행을 위해, 또는 가족 모임을 위해 새벽부터 일어나 2~3시간을 달린 뒤 상쾌한 아침공기를 쐬며 휴게소에서 먹는 우동만큼 맛있는 우동은 없다. 똑같은, 혹은 더 맛있는 레시피로 만드는 우동 맛집들의 우동도 그 때 먹는 우동 맛만큼은 따라 오지 못하는 것 같다. 최화정이 그랬다. 맛 있게 먹으면 0 칼로리. 우동 칼로리도 맛있게 먹으면 0 칼로리 아니겠는가. 








우동 칼로리 이야기를 하니 일본 소설 우동 한그릇이 떠오른다. 어린 시절 아 이런게 소설인가보구나란 어렴풋한 느낌을 받게 해주었던 뛰어난 작품이다. 1989년 1쇄가 발매된 이후 2002년까지 57쇄가 직혔다고 하니, 2015년인 지금은 얼마나 많이 찍혀서 팔렸을까 싶다. 







우동 한그릇은 힘들게 살았던 세 모자가 우동집 주인의 배려로 우동을 얻어 먹은 뒤, 그 아들이 오랜 시간이 흘러 다시 우동집에 찾아가 당시 고마웠던 은혜를 이야기하는 단촐한 이야기의 소설이다. 문체도 뛰어나고, 동화가 아닐까 싶은 마음이 들정도로 조미료가 가미되지 않은 스토리와 문체를 가진 작품이다. 






우동 칼로리는 보통 702 칼로리라고 한다. 국물 없이 먹는 볶음 우동의 경우 900 우동 칼로리가 넘을 수도 있으니 다이어트 중이라면 꼭 피해야할 음식이라고 할 수 있겠다. 요즘엔 칼로리를 계산해주는 앱도 있으니 모바일에서 앱을 통해 우동 칼로리를 계산해 보는 것도 좋겠다. 







그래도 겨울 뜨끈한 국물에 굵직한 면발이 주는 식감과 포만감을 쉽게 떨치진 못하겠지. 다이어트 때문에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말고 우동 칼로리 잠시 있고 눈 오는 날 따뜻한 우동 한그릇이면 만사 걱정이 다 떨어져 나갈 것 같다.  

  

반응형

'기록 > 맛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대찌개 맛있게 먹고 싶다  (0) 2015.09.10
반응형







얼마 전 개봉해 괘 인기를 끌었던 영화가 있었으니, 킹스맨이다. 킹스맨의 주된 내용은 인간을 지구 상에서 절멸 시키려는 제2의 노아의 홍수를 계획하는 악당을 영국의 잘 빠진 시크릿에이전트들이 물리치는 내용이다. 영화는 아주 키치하고 잔인한 내용에 비해 가볍고 우습게 표현해냈다. 






극장에서 내가 뜨악했던 부분은 악당의 본거지에 잠입한 주인공 일행이 기계를 조작해 악당 소굴에 모인 전세게의 지도자들 머리를 날려버리는 씬이다. 사람들의 머리가 터져나가는 장면은 마치 폭죽이 터지듯 표현하고, 우스꽝스러운 음악을 깔아놔 극장에 모인 관객들이 와하하하고 웃음을 터트렸다. 난 그 때 정말 무서웠다. 사람들의 머리가 터져 나가는데 사람들은 재밌다고 깔깔대고 있는 것이었다. 








인간은 타인에 대해 공감할 수 잇는 능력이 있다고 말한다. 있다, 인간은 오랜 기간 피를 흘리는 역사의 반복을 통해 그 능력이 중요하다는 걸 알았고 아이들에게 강제로 타인과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교육 시스템을 만들었다. 공감의 능력이 높아진다고 하여 인간 본성의 잔인함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우리가 배운 교육을 통해 본성을 다스릴 수 있는 이성의 능력을 키워내야 한다. 









그 때 그 웃음은 인간의 본능에서 나온 것이었다. 이성적인 것이라고 보기엔 상황이 너무 키치했다. 그리고 내가 더 무서웠던 건 한국이라는 나라에서는 아이들에게 타인에게 공감하라고 가르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이다. 조금씩 무뎌지고 무뎌져 지금은 니가 살아 남는 것이 최선이라는 명제를 주입시키고 있다. 


기생수는 인간을 먹어 치우려 한다. 지구 상에서 인간이 사라졌을 때의 모습, 인간이 주도권을 놓친 모습을 상상했을 때 지구는 더욱 아름다웠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이아 이론'을 배경으로 한 작품들이 더러 있었으나 이처럼 대중들 사이를 파고들고 있는 건 분명한 신호라고 여겨진다. 사람들은 사람들 스스로 더 이상 가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가치가 아니라, 생존이 목적이다. 더 많이 먹고, 약한 자를 지배해 자신의 안위를 보존하고, 쾌락을 탐미하려는 본능에 충실한. 그런 생존말이다. 









기생수의 주인공은 인간을 구하려 기생수를 찾아내 없앤다. 그건 인간의 입장에서 휴머니즘으로 부를 수 있지만, 기생수의 입장에서는 학살, 살인일 뿐이다. 인간은 끊임없이 다른 생물을 죽이고 있는데 왜 아무런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는가. 정말 지구가 만들어 논 에코시스템을 부수고 있는 '기생충'에 불과한 것은 아닐까. 







우리는 태어났기 때문에 죽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그 이유 때문에 다른 생물의 생명을 빼앗는 걸 합리화하고 있다. 동일하게 다른 생물이 살기 위해 인간을 죽인다면 인간은 그 생물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 것인가. 비난할 수 없다, 그저 자연의 투쟁만이 남을 뿐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