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71012.



이 책을 읽으며 혼란스러웠던 건 아직 완전히 정립되지 않은 이론이기 때문이었다. 헤겔부터 시작된 인정투쟁의 아이디어를 현대로 끌고와 논하고 있지만 저자가 말한대로 앞으로 어떻게 발전될지 모를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정투쟁이란 아이디어는 범용성이 크다 생각했다. 역사나 문명의 연대기를 서술하기엔 적절하지 않아 보이지만 현대사회로 다가올수록 인정투쟁이란 이름을 붙일 만한 사건이 다양해진다. 책에서 말하는 디테일은 현실에 적용했을 때 수정-보완해야 할 점이 많다 느꼈지만 인정투쟁 개념 자체는 유용한 도구임에는 분명하다.


인정투쟁의 구도는 상당히 단순한데, 책을 읽기가 쉽지 않았다. 책모임의 한 명은 번역이 거지 같아 출판사에 항의전화를 했다고 한다. 번역 때문에 항의전화를 한 건 이번이 두 번째라고. 악셀 호네트 밑에서 공부했다는 두 명의 유학파는 스승의 대표작을 국내에 소개하는데 보람을 느꼈을지 모르겠지만 한국어 실력이 그 모양인 건지 원서를 번역하기가 정말 힘들어 책을 그 모양 쓴 건지 알 수는 없다. 꼼꼼하게 헤겔과 미드를 전반적으로 분석했으나 '무시' 파트를 빼면 특별이 더해진 게 없어 빈틈이 많은 이론이었고, 번역도 엉망이라 읽는다면 말리진 않겠지만 추천할만한 책은 또 아니었다. 범용성이 높아 어떤 사건에 적용할 수 있을지 재밌는 아이디어들이 떠오르기도 했으나 책에서 구체적인 사례들이 제시되지 않아 오히려 코에 걸면 코걸이가 될 듯도 하여 인정투쟁이란 용어사용을 자제하는 편이 좋겠다란 생각도 했다. <인정투쟁> 외에 악셀 호네트와 낸시 프레이저의 대담집을 읽어보면 인정투쟁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리라 예상된다.


읽으며 스스로 흥미로웠던 점은 인정투쟁의 실패나 부정적인 면이다. 악셀 호네트는 인정투쟁의 밝은 면, 공동체 발전을 위한 도구로 사용될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당연하지만 인정투쟁이 긍정적인 합목적성을 갖지 않을 수 있고, 당사자의 사익 추구의 발현이 인정투쟁이 될 수도 있다. 저자는 인정투쟁의 '그림자'에 대해 다루고 있지 않는 것이다. 


내가 생각하기에 개인이 인정투쟁에 지속적으로 실패할 경우 자살에 다다른다. 단순히 죽음에 이른다고 표현하면 자살이라는 단어의 뉘앙스가 살지 않는다. 결국 인정투쟁은 타인과 관계맺기인데, 모든 관계맺기에 실패해 고립되면 <인정투쟁>에서 말하듯 개인의 존재 의의를 찾을 수 없어 자살하는 것이다. 고립되기 전 고립될 것이라는 공포감이 자살로 인도할 수 있다. 이 경우 타자들이 관계를 맺고 싶어하리라 예상된 '나'의 조건을 채울 수 없다는 판단이 공포를 유발하는 것이다. 미드가 말하는 '목적격 나'의 개념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겠다.


지금의 사회문화, 교육시스템, 미디어 등은 정상적인, 성공적인 '나'의 모델을 공고하게 만들고 빠르게 확산시킨다. 종교의 교리처럼 개인은 사회적으로 제시된 '나'를 모방하기 위해 인정투쟁을 벌이고 정체성을 형성한다. 이러한 모델은 강력한 사회적 규범으로 작용하고, 인정투쟁의 목적이 된다. 개인의 정체성은 비교나 경쟁 대상이 될 수 없지만 명확한 목표 지점이 정해지면 비교와 경쟁이 시작된다. 그 길 밖은 낭떠러지다. 밀려날 걸 예상해 스스로 떨어지는 건 자살 본래 의미와 맞닿아 있겠고, 다른 사람에게 밀려 떨어지는 건 요즘 자주 접하게 되는 '사회적 타살'이란 용어와 맞닿아 있다. 레이스 주최 측은 '모든 낙오는 스스로 떨어진 것'이라는 룰을 만들어놨기에 '낙오'의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인 예는 학교에서 찾을 수 있다. 최근 학교폭력이 주목을 잠깐 받았지만 아주 오래 전부터 곪아 있었다. 학교는 내부를 지키는 안전한 울타리가 아니라 내부를 가두는 울타리다. 그 안은 세계는 자연상태의 정글과도 같다. 힘 있는 자가 타인을 지배함으로써 더 큰 인정을 받는 것이다. 돈, 폭력, 부모의 후광 등 쉽게 떠올릴 수 있는 힘의 조건들이 학교 울타리 안에 적용된다. '어른들의 세계'에 적용되는 생태켸 법칙과 다를 바가 없다. 강할수록 살기 쉽고, 약할수록 잡아먹히기 쉽다. 돈, 폭력, 부모의 후광 등이 유용한 인정투쟁의 도구임을 깨닫고, 사용 후 실제로 큰 인정을 획득하게 된다. 성적이 좋은 학생이 학교 폭력에 가담하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다. 성적 또한 인정투쟁의 도구일 뿐이기 때문이다. 학교 생태계에서도 마찬가지, 지속적인 인정투쟁의 실패는 자살로 귀결된다. 




00.


책 뒤 새로 써넣은 부분에서 악셀 호네트는 미드와 결별했다고 선언한다. 내가 이 책을 왜 읽었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미드 자리에 라캉의 거울단계 이론 등 정신분석학을 집어넣어 공동체가 아닌 개인에 더 집중하는 건 어떨까도 생각해봤으나 '제3의길'을 추구하는 저자의 생각과 동떨어지게 될 것이라 아이디어로만 떠올려봤다. 



반응형

'기록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주회시 _ 이상 _ 거미와 돼지를 만나다  (0) 2018.03.15
마음 _ 나쓰메 소세키  (0) 2018.02.27
물질과 기억 _ 앙리 베르그손  (0) 2018.02.27
82년생 김지영 _ 조남주  (0) 2018.02.27
인간실격 _ 다자이 오사무  (0) 2018.02.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