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50617.



신경숙이 표절했다는 이야기가 뜨는 걸 보니 예전에 들었던 이야기가 생각난다. 



1.


소설 쓰기에 입문할 때 잘 쓰인 작품을 필사하며 연습하는 방법이 있다. 신경숙이 대표적인 케이스. 나이가 좀 차서 문창과를 다녔는데 젊은 이들의 '재기'를 따라갈 수 없어 우직하게 필사를 시작했고, 어느 날 오정희의 단편을 필사하다 '그분'이 오셨다는 이야길 들었었다. 그 후 성공한 작품을 써냈고, 콧대가 높아져 터치하기 어려운 인물이 되었다고.


뗀 첫발이 필사였기 때문일까 싶기도 하고, 방송작가 시절 좋은 글귀를 대본에 쓰던 습관 때문이라는 말도 있고. 아무튼 손에 베인 습관이 흘러나온 게 아닐까란 생각.



2.


신경숙 표절 건이 더 공분을 사는 건 그 동안 알면서도 쉬쉬했다는 거다. 신경숙이 하이클래스 작가이고, 이런 잘나가는 작가를 문단의 어른'들이 건드려 말썽 일어나는 걸 원치 않아 곪았다는 주장이다. 분위기가 그렇다는 건데 내가 작가나 관련 업에 종사하는 게 아니라 이러쿵저러쿵 입방아 찧기 뭐하지만, 충분히 그럴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든다. 


예전에 일을 쉬며 글이나 또 써볼까 싶어 들을만한 수업이 없을까 뒤적이는데, 문학상 준비반이란 게 있더라. 놀랐다. 어떻게 써야 상을 받을 수 있을지 방법이 있다는 소리다. 현 작가가 한 두 달? 정도 클래스를 운영하고, 적지 않은 비용을 책정해놨던 기억이 있다. 책도 못내고 그저 지망생에 불과한 예비작가들 주머니 사정이야 뻔할 텐데, 서글프고도 좆같단 생각이 들었다. 이 바닥이 망했구나.


이후에 현업 소설가가 하는 수업을 하나 들었다. 한겨례문화센터에서 하는 그런 강좌였는데, 모르는 작가였다. 문체에 관련된 수업이었고, 그 여류작가는 문체가 좋기로 그 바닥에서 좋은 평판을 가지고 있다 했다. 수업 몇 번 듣고 과제가 하나 있었는데, 아무거나 '묘사'해서 써오라고 했다. 소설 형식을 빌어 병원 대기실을 묘사하는 글을 써 갔고, 이내 비평 시간이 진행됐다. 이래서 안 되겠구나를 다시 한 번 느낀 순간이었는데,


과제는 자유형식으로 묘사를 해오라는 거였지, 소설을 쓰라는 게 아니었다. 나도 소설을 쓸 생각이 없었고, 소설형식을 빌어 쓰고 싶었을 뿐이었다. 수업을 진행하는 그 작가는 갑자기 주인공은 몇 살이며, 배경은 어떻느냐, 병은 무엇이냐, 입원을 했던 경험이 있느냐, 이 병원은 또 어떤 병원이냐 등을 꼬치꼬치 캐물었다. 그게 소설의 기본이라고. 그날 따라 유난히 전부 소설처럼 과제를 해왔는데 다 마찬가지였다.  


수업의 분위기는 그저 그랬다. 내가 왜 그 공간을 묘사했고, 무엇을 묘사하려고 했는지도 한 마디도 못했다. 그런 게 소설이라고, 소설을 쓰려면 그런 기본을 갖추어야 쓸 수 있다고 했다. 수업이 끝난 후 눈 인사만 나누던 한 두 명에게 잘 읽었다는 피드백을 받았다. 내입으로 이야기하기 그렇지만, 내가 쓴 과제 수준이 그리 나쁘지 않았다. 다음 수업 시간, 그 소설가는 다시 소설을 쓸 때는 원래 그렇게 한다고 입을 떼며 즐거워했다.


그리고 이런 생각을 했다. 그렇게 틀에 맞춰 작품을 갈아 내기 시작하면 결국 아무런 생명력도 없을 것이다, 공장에서 찍어내듯 말이다. 소설을 잘 쓰는 방법이 정해져 있고, 그걸 심지어 '수상'할 수 있도록 가르칠 수 있다는 거다. 대학 시절 비평문을 쓰고 꽤 날카로운 비평을 나누던 수업이 있었다. 비평문은 사실관계와 논리가 가장 중요하니 꼼꼼히 따질만한데, 소설까지 그럴 필요는 없다 생각했다. 소설도 예술 장르로서 엄격한 형식이 있지만, 소설의 본질은 그게 아니다. 심지어 '소설'이란 형식은 개화기 시절 서양에서 들어온 물건이다. 


예전 어디서 봤던 실험 결과에서, 같은 문학 동아리의 크리틱 방법을 단점을 강조하는 집단과 장점을 응원하는 방식의 두 집단으로 나눴고 10년 후 쯤 장점을 응원하던 집단이 더 좋은 작가들을 배출했다는 걸 보았다. 내 생각이 바로 이 실험 결과와 동일하다. 누군가에게 굳이 말을 해야 할 상황이 생기면, 단점보다 긍정적인 점을 강조한다. 그게 사람마다 다른 개성이고 정체성이기 때문이다. 단점은 여러 사람이 인위적으로 만든 '기준'에 부합하지 않거나 '모자라다'고 생각하는 걸 지적하는 행위이다. 


우리 나라에 판타지, 웹툰, 영화 시나리오 바닥에 사람들이 많이 몰리고 재밌는 아이디어가 많은 건, 순수문학으로서 강조된 '소설'이 진입장벽을 높여 개성을 질식시켰기에 다른 곳으로 피난을 떠난 결과다. 3~4년 전 젊은 작가상이란 단편소설집을 사 읽다가, 덮고, 잊을만하면 다시 열다 읽다 덮고를 몇 번 반복 끝에 겨우 다 읽어냈다. 상을 받은 작품들이 당대 소설의 형식에 부합할지 모르지만, 읽어낼만한 서사나 재미를 느낄만한 아이디어가 전혀 없었다. 


아무도 찾지 않는다. 파이가 적어지면 기존 조직은 보수적으로 변하기 마련이다. 있는 거라도 지키기 위해서 말이다. 그 악순환으로 고인물이 되고 조직은 퇴보한다. 소설판이 딱 그 꼴이다. 기존의 작가들은 소설의 형식을 강조하며 개성을 갈아버리기 급급하고, 그로 인해 거세된 재미는 다시 소설의 파이를 작게 만든다. 수상 타이틀이 없으면 작가 타이틀을 달 수 없으니 '원로'들이 권력을 재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은 딱 좋게 갖춰져 있다. 



3. 


인간이 이야기를 만들어 낸 건 기록의 목적도 있지만, '재미'를 위해서이기도 하다. 소설의 형식이 없어도, 우리 나라는 오랜 기간동안 다양한 형식으로 재미난 이야기를 전해왔다. 소설의 문체를 읽는 맛도 중요하지만 좀 더 이야기의 본질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신경숙이 이야기꾼으로서 재능이 있다면 굳이 다른 이들의 묘사를 표절하면서까지 문체에 집착할 필요가 없을 텐데. 그리고 신경숙이 문단에 없더라도 그 뒤를 받쳐 줄 젊은 작가들이 단단하게 자리 잡았다면 신경숙의 표절을 이렇게 쉬쉬하며 덮지 않았을 텐데. 건강한 조직이라면 이런 문제를 쉬쉬하며 넘어가려는 윗대가리들의 눈치를 보며 조용히 있지 않을 텐데. 


신경숙 얘기 짧게 기록하려 했는데 느닷없이 너무 길어져 두서없지만, 이런 생각이다. 


반응형

'옛블로그1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베_1  (0) 2018.02.28
글 쓰기 전문가  (0) 2018.02.28
시네마 천국과 사랑  (0) 2018.02.28
DW에 대해  (0) 2018.02.28
BR에 대해  (0) 2018.02.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