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70921.



블록버스터에서 보기 힘든 진지함을 가진 시리즈였다. 마지막 프리퀄은 더 비극적이고 은유적이었다. 인간은 무엇인가란 대주제는 앞선 두 편에서 어느 정도 제시됐고 3편에서는 인간의 광기, 전쟁에 대해 이야기한다.


3편 이야기는 전반적으로 2차 대전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시저의 아내와 자식들이 암살당하는 모습은 1차 대전 발발의 도화선이 된 사례예보 사건을 떠올리게 했으나 유인원이 갇혀 강제노동을 하는 모습은 아우슈비츠를, 변형 바이러스에 걸린 인간을 죽이는 건 우생학을, 패배할 수밖에 없는 싸움을 끝까지 붙잡는 대령의 모습은 패망 직전 독일을 떠올리기에 충분했다. 이런 구도를 맞추기 위해 끼워넣는 연출이 종종 보였으나 진중한 접근이 단점을 어느 정도 상쇄시켰다. 


단점들이 부각되지 않고 설득력을 갖는 건 유인원들, 그중에서 시저의 캐릭터 존재다. 이 시리즈 전반에서 인간은 이성에 매몰된 맹목성을 보이는 반면 유인원들은 감정적이고, 그래서 선택에 대한 고뇌와 신념을 가지고 있다. 시저는 아내와 자식들의 죽음에 분노해 코바처럼 인간에게 대항하기를 결정한다(코바와 다른 건 그 분노를 개인적으로 한정시킨 것이다). 시저의 부정한 분노는 불의에 맞서는 정의로운 분노로 변하고, 마지막 순간 과거의 시저처럼 인간과의 관계를 맺지 않음을 선택함으로써 평화를 예비한다. 이러한 시저의 변화는 시리즈 마지막에 지구를 지배하는 새로운 종의 탄생을  관객들이 긍정하게 만든다. 


-어설프거나 식상할 수 있는-분노의 전환을 매끄럽게 만든 영화적 도구는 백인여자아이다. 민간인을 죽인 시저의 행동은 가족을 잃은 자신의 분노를 표현한 것이지만, 복수의 굴레일 뿐 별다른 의미를 찾을 수 없다. 이 굴레를 벗어날 수 있는 희망이자 유인원과 인간의 화해를 상징하게 될 여자아이의 등장은 시저와 유인원들을 위한 배려였다. 여자아이가 유인원 강제수용소로 걸어들어가는 시퀀스는 이번 혹성탈출 시리즈와 어울리지 않는 미학이었지만, 3편의 진행을 위해 꼭 필요한 도전이기도 했다. 시저와 유인원들에게 감정이입된 관객이라면 이 장면에서 비극과 감동을 함께 느낄 수 있었으리라.


여자아이가 시저 일행에게 받아들여질수록 여자아이 아버지를 죽인 시저의 악행이 떠올라 비극을 키웠다. 이 아이러니는 인간이 변종 바이러스에 의해 유인원화 될 것을 암시하며 갈무리된다. 지구에서 일어난 일련의 사건은 인간의 일이면서, 유인원의 일이었다. 유인원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인간은 거대한 자연에게는 패배하며 지구상에서 사라진다. 유인원은 인간에게 패배했지만 자연에 순응해 살아남는다. 다른 종이지만 선함과 악함이 닮아있는 것, 후대에 등장할 혹성탈출 본 시리즈에서 또 다시 이 관계가 뒤집어질 수도 있음을 암시한다. 


혹성탈출 종의 전쟁은 시리즈에 어울리는 결말이었고,  전체로도 훌륭한 프리퀄 시리즈였다.

반응형

'기록 >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더  (0) 2018.02.21
패터슨  (0) 2018.02.21
공범자들  (0) 2018.02.20
동사서독 리덕스  (0) 2018.02.20
화양연화  (0) 2018.02.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