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디즈니 월드보다 신나는 무지개 어드벤쳐'라니.



누군가 이 영화가 '재밌다'고 했는데, 그 재미는 일반적으로 상상하는 그런 재미는 아니었다. 엔딩에 대해서는 뒤에서 이야기하겠지만, 엔딩 부분을 제외하고 영화는 잘 만들었다. 그래서 영화를 보는 '재미'가 있었다.


디즈니라는 단어만 보고 영화를 지레짐작하는 사람이 많을 테다. 꿈, 희망, 행복 이런 단어들이 떠오르니 당연히 '아, 어린 아이들이 꿈과 희망을 이야기 하는 거 겠구나'라고 생각하기 쉽다. 플로리다 프로젝트가 아이들의 행복을 말하고 있다는 점에서 통하는 부분이 없진 않겠다. 그 행복이 '디즈니'라는 상징이 만든 정형화된 행복이 아니라는 점에서 다르다. 우리 나라에서도 흔히 TV에서 볼 수 있는 가족의 행복, 그로 인한 인생의 성공 스토리를 접할 수 있다. 그게 현실과 다르다는 건 너무도 잘 알고 있듯, 플로리다 프로젝트는 '디즈니'가 만든 상징이 현실과 다름을 이야기한다. 


네이버 영화평에 써놓은 멍청한 소개글은 아마도 영화를 팔아야만 했던 배급사의 짓이었을까. 어쩜 이렇게 영화 소개글이 복붙한 것처럼 똑같은 건지. 해외에서 극판 호평, 진정한 행복 전달, 눈물 감동 웃음 재미 선사, 올해 최고의 영화, 놀라움 사랑스러움 경이로움 특별함. 똑같은 원고에 사실관계만 바꿔서 올리는 거 아닐까 싶다. 참고할 만한 내용은 말그대로 사실관계 밖에 없다. '무니'역을 맡은 아이가 사랑스럽고, 영화가 활기차고 행복한 모습을 연출하고 있어도 엔딩 이후 가슴에 남는 우울함이 영화를 보고 느낄 감상이다.  



나만 그렇게 생각한 게 아니다. 정신 나간 인간들.



우리 나라와 환경이 달라 느낌이 많이 달랐지만, 표현하자면 모텔에서 지내는 두 모녀에 대한 이야기였다. 아마도 범죄 경력을 가졌을, 어린 나이에 아이를 가진 미혼모는 힘들게 살아간다. 이 영화가 좋은 건 신파가 없다. 울고 짜고 불행을 강조하고 고생 끝에 행복을 거머쥐는 연출이 없다는 것. 생활이 쉽지 않지만 아이와 엄마는 내색하지 않으며 하루를 살아간다. 


관객은 딸 무니의 시선을 통해 플로리다의 현실을 마주한다. 그녀는 자신이 지내는 매직 캐슬 주변을 낱낱이 알고 있다. 친한 친구를 사귀고, 함께 놀거리가 가득하다. 학교에 가지 않는 이유를 당당히 밝히며 신나게 산다. 무니가 너무 예쁘고 활기차기 때문에 관객은 플로리다 프로젝트가 보여주는 현실을 잊고 만다. 


무니의 밝음에 대해서는 두 가지 의견이 있었다. 하나는 그 나이에 어울리는 순진무구함의 결정체다, 다른 하나는 엄마와 마찬가지로, 완전히는 아닐지라도, 현실 알고 감내하며 삶에 충실하다는 관점이었다. 당연히 우울한 후자가 내 의견이었다. 연출에 있어 그런 의도가 있지 않았겠느냐라고 주장은 했으나, 다시 생각해보니 그 나이에 맞는 순진한 아이였던 거 같다. 보는 내가 너무 닳아서 그렇게 보고 싶었던 거지. 아이에겐 매직 캐슬이나 디즈니나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 같다. 그녀가 있는 곳이 무궁무진한 '디즈니'였으니까. 감독은 아이의 눈을 통해 좋고나쁨, 선악 구분짓기를 내려놓지만 어른의 시선은 그렇지 못하다. 관객인 나뿐만 아니라 영화 안에서의 어른들도 마찬가지. 무니는 순수할지라도 그녀를 둘러싼 현실은 순수하지 않다. 



영화에는 두 번 정도 침묵 속에 앉아 있는 엄마 핼리의 뒷모습이 나온다. 가장 마음에 들었던 컷.


영화의 시선에 개입하는 제 3자인 어른이 있다. 영화에서 1인칭 관찰자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매직 캐슬 매니저 바비다. 무니 엄마의 시선은 무니와 시공간이 거의 같아 크게 다르지 않다(화재 때문에 애슐리와 싸운 것 빼곤). 바비의 시선은 감독의 시선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감독 션 베이커가 본 플로리다의 현실은 바비를 통해 전달된다. 우리 나라 말로 하면 이상한 어감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하는 Sympathy와 Empathy로 비유할 수 있겠다. Sympathy보다 적극적인 이해와 공감의 의미인 Empathy는 션 베이커가 바비를 통해 드러냈다. 션 베이커는 플로리다의 현실, 아니 미국의 잘못된 시스템으로 인해 고통 받는 사람들에 대한 Empathy를 이번 영화로 표현했다. 관객은 영화를 보고 Sympathy를 느낄 것이다. Empathy보다 한 걸음 떨어져 감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미국 영화이기에 아무래도 한국 관객이 Empathy에 가까운 감정을 느끼기엔 사실 거리감이 좀 느껴진다. 


영화의 엔딩을 보고 대부분의 관객들이 벙쪘을 거다. 의미는 이해가 가지만, 영상이 갑자기 튀어서 당황스러웠다. 툭툭 상황을 던지고, 리얼리티를 살리던 영화에서 급작스레 등장한 엔딩씬은, 스포일러 문제로 자세한 언급을 하기 어렵지만, 일관된 표현 방식이 아니었다. 내가 뭐라고 감독한테 이래라저래라 할 순 없지만, 표현이 좀 이상한 엔딩이긴 했다. 



00.

모녀와 바비의 상황을 바라보며 즐겁다, 재밌다, 행복하다고 느낄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그런 감정을 느낀다면 뭐, 내 상식에서, 일반적인 감정선을 가지지 않았다라고 말할 수 밖에. 플로리다 프로젝트를 소개하려 한다면 당연히 표현을 걸러서 다뤄야 한다. 모녀가 놓인 현실에서 묵직한 우울함을 느꼈지만, 어린 무니에게 대물림될 현실의 무게가 마음을 더 크게 짓눌렀다. 행복, 희망, 즐거움 따위의 표현을 사용해 플로리다 프로젝트를 다루는 글은 쓰레기 취급을 해도 되겠다.

  






반응형

'기록 >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 우리 학교는 후기 및 평가 - 양날의 검(약간 스포)  (0) 2022.02.18
버닝  (0) 2018.06.08
원더  (0) 2018.02.21
패터슨  (0) 2018.02.21
혹성탈출: 종의 전쟁  (0) 2018.02.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