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프니까 청춘이다라는 책이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적이 있다. 이 시대 청춘들의 아픈 마음을 달래준다며 너도나도 그 책을 보고 마음의 평화를 얻었더랬다. 그런데 몇 년이 지난 지금 최고의 조롱거리 중 하나가 됐다. 작가이자 배우이자 코미디언인 유병재의 핵심 패러디. 아프면 환자지 X새끼야!








하지만 김난도는 여전히 잘 먹고 잘 산다. 그는 어짜피 서울대 교수이며, 이후 낸 책들도 꽤 잘 팔렸다. 그의 지위를 감히 누가 도전할 수 있겠는가. 아프니까 청춘이다의 핵심은 지금은 인내하라, 그러면 미래가 있다라는 메시지다. 지금은 힘들지라도 돌아보면 그게 다 추억이다 뭐 그런 소리 아니겠는가. 청춘들이 이런 소리에 위로를 받는 건 주변에 아무도 위로를 해주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뭔가 하라고 부추기지도 않고, 잘 하고 있다며 응원해주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꼰대라 불리워도 어쩔 수 없는 것이 있으니, 시간이 지나면 그 시간을 걷기 전의 모습을 되돌아 보게 되고, 또 그런 시선을 타인에게 대입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사람은 말을 해야 한다,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말하려 한다. 그런데 그 말하기의 방식에 따라 김난도는 책을 엄청 팔아 제끼고, 누군가는 꼰대라며 호박씨를 까이게 된다. 아니, 대놓고 욕하는 분위기이니까. 








내가 본 바로 자신의 지나간 경험에 비추어 청춘들에게 한 마디하는 사람 중 가장 세련된 이는 헤르만 헤세이다. 그의 책 데미안이 그렇다. 사실 이 책은 좀 난해할 수 있다. 깊은 고독을 외로움으로 착각해 가볍게 읽어 버리면 사실 데미안은 데미안이라고 부르기 좀 그렇지만, 청춘들은 고독과 외로움의 차이를 알지 못한 채 어쨌든 고전이라는 데미안을 읽어 낸다. 그리고 아주 간결한 메시지를 남긴다. 알을 깨라.








알이 무엇인지 말하고 있진 않지만,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라는 말로 들린다. 할 수 있다는 것, 네 안에 무엇인가 있다는 걸 아주 세련되고 멋지게 언급하고 있다. 스스로 음미하지 않으면 얻을 수 없는 그것. 아프니까 청춘이다와 다른 점은 외적인 시선, 사회적인 기준에 부합해야 한다는 대전제 속에서 메시지를 던지고 있는 김난도와. 그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영혼을 지녔다라고 말하는 헤르만 헤세의 메시지는 격을 달리 한다. 김난도의 충고는 오히려 우리의 가능성을 닫게 만들고 만다. 데미안이 다루는 고독이 아니라 낯 간지러운 외로움이란 감정을 살살 긁어 책을 팔아 먹는 것이다. 








사회적 지위를 획득하는 게 알을 깨는 게 아니다. 데미안의 핵심은 내 안에 자리한 틀을 깨라는 것이며, 고독을 감내하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건 인간의 존재에 대한 진지한 접근에 대한 이야기다. 책팔이의 어설픈 충고 따윈 빗댈 수 없는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