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31130.




시놉시스만 보고 뭔가 뻔할 것 같은 이야기이지 않을까 예상했다. 당연히 봐야 한다고 생각하면서도 발이 잘 안 떼어졌다. 영화를 보고 이 얘기 저 얘기하며 든 생각은, 이야기가 큰 틀에서 예상했던 것과 많이 다르지 않았다는 점이다. 파멸로 이르는 디테일은 예측할 수 없었으나 전작 돼지의 왕처럼 짜증날정도로 현실적이고 결국 모든 게 끝장날 거라는 그 느낌만은 살아 있었다.


찜찜함, 더 직설적으로 말하면 좆같음. 이 영화를 본 후 누구나 이 말을 뱉고 싶어 목이 간질간질 할거다. 같이 봤던 이는 치밀어오르는 찜찜함을 누르기 위해 소주를 마셔야 한다고, 한 번 들어가기 시작한 술이 멈추질 않았다. 우린 영화를 보며 착한 놈과 나쁜 놈을 나누는데 익숙하다. 이런 영화를 보고 난 후 밀려 오는 찜찜함은 착한 놈이 없다는 데 있다. 그런데 그게 너무 현실인거라. 우리가 어떤 이야기를 취하는 건 현실에서 느낄 수 없는 희노애락을 맛 보기 위해서이지, 매일 같이 시달리는 현실의 좆같음이 다시 느끼기 위해서가 아니다. 하지만 이 애니매이션은 외면하고 싶은 현실의 모습을 사람들에게 묘사하려고 한다. 묘사가 너무 실감나서, 사람들은 눈을 뗄 수가 없다. 


현실을 이루는 건, 시공간이고 뭐고를 떠나, 사람들이 매일을 살며 만드는 삶의 관계와 연속이다. 이 작품을 보고 딱 그말이 떠올랐다. 이야기를 짤 때 캐릭터를 잘 만들고 굵직한 공간과 사건 설정 해놓으면 캐릭터가 그 안에서 알아서 살아 움직인다는 말이다. 이 작품의 힘은 주요 3인방의 살아 있는 움직임이었다. 수몰지구라는 한정된 공간을 부여했을 때 그들이 삶을 살아 내는 방식이 애니메이션의 주된 흐름이다. 사회 구조가 좆같다고 느끼는 건 매일 정치 욕과 가족 같은 한국 기업들의 착취 구조 욕하는 것처럼 열은 받을지언정 큰 감정적 동요를 불러 일으키지 못한다. 반면 특정 인물로 비난이 좁혀질 경우 우린 충분히 감정이입할 수 있다. 구체적인 대상을 떠올리며, 그 사람의 얼굴을 떠올리며, 어떤 새끼일 것이라는 예상을 하며 한층 더 인간적인 감정들을 불러 일으킨다. 사이비는 어떤 구조에 대해 비판하지 않는다. 물론 각각 캐릭터의 역사를 쫓으면 뭔가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들의 역사는 중요하지 않다. 지금, 그들이 움직이고 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그들이 어떤 인간인지 묘사하는데 무게를 둔다. 그래서 스크린 안에 현실이라는 지옥도를 펼칠 수 있는 것이다. 


사이비의 스토리는 극단적이고 눈에 튀는 극적 장치가 몇 가지 있지만, 관객들은 캐릭터에 몰입한다. 난 사기꾼 캐릭터가 가장 좋았는데, 권해효의 더빙이 훌륭했다. 물론 다른 배역을 맡은 이들도 훌륭했다. 내가 사이비 종교 단체를, 사기꾼을 직접 만나지 않았지만 어디선가 들어 봤을 법한 어투와 내용으로 대사를 줄줄 읊었다. 뭔가 설명하려 들지도 않았고, 영화처럼 꾸며진 대화도 아니고, 현실 어딘가에 있을 법한 말을 그대로 뱉고 있었다. 언뜻 식상하게 느껴질지도 모르지만 -애니메이션을 보면 느끼겠지만-굉장한 장점으로 작용한다. 어딘가에 있을 것 같은 개새끼에게 감정이입을 하는 것이다. 김민철이 딸 등록금을 하루 만에 도박으로 탕진하고 애미자식을 구타할 때 우리는 현실 어딘가에 있을 개새끼에게 감정을 불러 일으켜 몰입하기 시작한다. 


영화를 볼 때 뒷 줄에 앉은 여자 관객이 우는 듯한 소리가 들렸다. 영화는 찌듬과 짜증을 줬지만 울음을 일으키는 장면은 없었다. 같이 봤던 이와 나에게는 울만한 장면이 없었지만, 그녀에게는 울만한 장면이 있었을 수도 있다. 민철에게 시달리다 자살한 딸에게 자신을 투영했으리라 짐작했다. 영화에서 느껴지는 찜찜함은 사회 전체에 대한 울분이 아니라 누군가에는 구체적일 수도, 누군가에는 추상적일지도 모르는 가상 혹은 진짜 인물에게 집중된다. 어딘가에 있을 법한 이야기는 아니지만, 어딘가에 있을 법한 사람들이 만든 이야기. 바로 길거리에서 마주쳐 지나가는 모르는 인간들이 만드는 이야기. 그걸 인정했기 때문에 찜찜함을 느낀다. '뭐 저런 말도 안 되는 게 있어'라고 느낀다면 이 작품에 대해 혹평할 수 있다. 미적, 애니메이션의 기술적 완성도 때문에 좋은 평가를 받는 게 아니다. 어딘가에 있을 것 같은 인간들이 애니메이션 안에서 일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돼지의 왕에서도 제목의 돼지는 반 아이들이었다. 사건을 묵묵히 바라 보는, 아니 자신의 이익을 위해 강자에 붙었다 약자에 붙었다 하는 인간의 군상이었다. 돼지의 왕을 보고 학창시절을 떠올리지 않는 이 없을테고, 한 번쯤 학교 폭력이나 교육의 문제를 생각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 엄석대의 학교 폭력 문제를 다루는 게 아니듯, 돼지의 왕도 학교를 비난하기 위해 만들어진 에니메이션이 아니다. 철저히 자신의 이익에 따라 움직이는 인간의 본능을 그리고 있을 따름이다. 사이비에서도 진짜 주인공은 마을 사람들이다. 수몰될 마을이, 그 마을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주요 3인방을 뛰 놀게 만드는 공간을 만들어 내고 있다. 마을 주민 모두는 하느님이 아니라 천국을, 먹고 살 집을, 돈을 원하고 있다. 범죄의 재구성 엔딩에서 박신양이 이런 말을 한다. 사기는 상대방이 뭘 원하는지 알기만 하면 된다고. 연상호는 사람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고 있다. 그걸 애니메이션으로 만들고 사람들은 보고 더러움을 느낀다. 


누군지 모를 현실 속 비난의 대상이 자신의 모습을 담고 있단 사실을 어렴풋하게 느끼기 때문에 짜증이 난다. 원래 착한 놈, 나쁜 놈 없다. 그저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인간이 가득한 세계일 뿐이다. 나 역시 그 일부일 뿐이다.



반응형

'기록 >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사서독 리덕스  (0) 2018.02.20
화양연화  (0) 2018.02.20
컨저링  (0) 2018.02.20
공각기동대 어라이즈 보더 1: 고스트 페인 (Ghost in the Shell ARISE, 2013)  (0) 2018.02.20
천안함과 분노 마케팅  (0) 2018.02.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