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윤태호의 웹툰 내부자들을 영화로 만든 내부자들이 온다. 주연 배우가 무려 이병헌, 조승우, 백윤식이다. 그들의 이름값만으로 이미 주목을 받을 만큼 받은 상황. 그리고 미생의 성공으로 일약 국민 웹툰 작가로 선 윤태호의 작품이라는 기대. 개봉을 미루면서 소문만 무성해서 더 커진 기대감까지. 웬만큼 재밌지 않고서는 사실 관객들의 기대치를 충족시키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의외로 그저 그런 성적을 낼 수도 있을 거라는 것. 그리고 시사회를 통해 드러난 작품은 극화되지 않고 어둡고 눅진하고 외면하고 싶은 현실을 포착해 그대로 담기 위해 노력했다고 한다. 사실 사회 비판적 성격을 담은 작품들은 흥행에 쉽게 성공하지 못한다. 어느 정도 현실감을 배제해야 관객들이 아 저건 영화구나란 안도감을 느끼며 영화를 칭찬하는 것이다. 이게 너무 리얼리티가 넘쳐 버리면 영화 속에 담긴 현실을 부정하고 싶어진다. 내가 사는 세상이 저렇게 까진 아닐 거야란 생각이 드는 것이다. 








영화의 전체 분위기가 관객에게 거부당하면 몰입할 수 없을 것이고, 미묘하고 섬세한 연출은 그저그렇게 주목 받지 못한 채 지나가버리고 만다. 뭔가 임팩트 있는 사건, 반전, 액션이 없으면 정말 그저 그런 영화가 되어 버리는 것이다. 영화가 괜찮고, 연기도 좋고, 다 좋은데 뭔가 부족하다고 말하는 것이다. 부족한 건, 관객이 외면한 그 현실성에 있다. 







우리 나라 사람들은 특히나 해피엔딩을 좋아한다. 웹툰을 봐도 조금만 슬픈 장면이 나오거나 선역을 맡은 캐릭터가 죽거나 당하면 당장 악플가 거지 같은 평점들이 쏟아진다. 왜 괴롭히냐는 말이다. 항상 밝고 깨끗하고 해피하고 행복하고 재밌는 세상만을 그려대면 도대체 남는 게 뭐가 있을까. 우리 삶은 행복과 슬픔과 분노와 더럽고 깨끗한 욕망들이 뒤엉켜 분리해낼 수 없다. 어느 순간 외면하고 싶은 욕망이 튀어나오기 마련이다. 그걸 거부하려고 하면 인지부조화가 발생하고 또 그 간극을 메우려 앞뒤 안 맞는 언행과 사고를 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현실에서도 좋은 일과 나쁜 일이 반복된다. 우리의 삶은 평탄할지 몰라도 우리의 시선이 닿지 않은 곳은 우리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더러움이 넘쳐날 수도 있다. 아니, 넘쳐나고 있다. 그렇게 현실을 부정해도 현실은 현실이다. 추상으로 존재하는 유토피아는 우리의 발밑에 없다. 현실을 외면할수록 나와 외부세계의 괴리는 커지고 점점 더 공허해질 수밖에 없다. 

반응형

+ Recent posts